Woman-Confidence.jpg


가슴운동을 하면 가슴은 커진다. 하지만 다이어트 상태라면 가슴은 줄어든다.


많은 여성들이 운동을 하거나 다이어트를 할때, 가장 큰 고민에 빠지는 것이 바로 가슴이다. 가슴은 여성성을 상징하는 가장 중요한 부분이기도 하고 모성애를 나타내는 여성의 전유물이기 때문이다. 이런 가슴이 대부분 지방으로 이루어져 있다보니 가슴 운동을 하면 이 가슴이 어찌 될지에 대한 의문을 품기 마련이다.


혹자는 가슴 운동을 하면 가슴 근육이 발달하고 지방층 밑에 가슴 근육이 발달해서 가슴이 커진다는 이야기를 한다. 다른 의견을 가진 사람들은 가슴 운동을 하면 가슴을 이루고 잇는 지방이 타면서 줄어든 지방 > 늘어난 근육에 의해 가슴 사이즈가 줄어든다고 한다. 이런 정보들 때문에 많은 여성들이 고민에 빠지는데 둘다 맞는 말이다.


결론을 풀어 얘기하자면, 가슴 운동을 하면 여성들의 경우 느리지만 가슴 근육이 발달한다. 여성들이 근육량 발달을 위해 가슴 운동을 하면서 충분히 식사 섭취를 하여 체중이 빠지지 않는다면 지방은 유지된 채로 가슴 근육이 발달된다. 이는 가슴 사이즈 발달에 도움이 된다. 실제로 가슴 수술을 한 사람이 살이 찌면 의학적인 가슴 주변에 지방이 축적되면서 가슴 사이즈가 더 커진다.


반대로 가슴 운동을 하면서 다이어트를 하게 되면 근육은 발달하지만 그 정도가 매우 미약하고 반대로 지방을 많이 가지고 있는 가슴은 지방을 에너지원으로 빠르게 빼앗기기 때문에 득보다 실이 많아진다. 즉, 가슴 사이즈가 줄어드는 것이다. 결국 정리해 보면 영양 섭취 상태가 (+)이냐 (-)이냐에 따라 가슴 사이즈가 (+)이거나 (-)이다 라고 말할 수 있다.


structure_of_breast-141A0BF49D20D6D15C5.png


가슴 근육은 대흉근이라는 넓은 모양의 근육이 주요 근육인데 이 근육은 겨드랑이부터 위로는 쇄골 밑으로는 가슴 하부까지 펼쳐져 있다. 여성의 가슴은 부생식샘과 유방을 보호하고 모유를 생산하고 저장하기 위해 남성보다 지방 축적량이 매우 높다. 실제로 가슴은 임신을 하게 되면 수유의 기능을 가지기 위해 더욱 지방/모유을 저장하고 사이즈가 커지게 된다.


유선 조직은 여성의 유두를 둘러싼 조직으로 다발형태로 유두 인근에 펼쳐져 있다. 여성들은 이 조직의 아래 가슴 근육이 존재하기 때문에 남성들보다 상대적으로 가슴 근육이 드러나지가 않는 특징이 있다. 남성에 비해 가슴 근육이 잘 발달하지 않는 이유는 상대적으로 중량을 무겁게 다루지 못하는 점, 유선 조직의 발달로 가슴 근육의 크기 발달에 적합하지 않다는 점 등이 있다. 하지만 가슴 근육의 발달이 가슴 지방을 감소시키는 것은 아니다.


여성들이 가슴 운동을 해야 하는 이유는 가슴과 어깨로 이어지는 라인의 아름다움을 만들고, 상체 근육의 안정화를 위한 회전근개 발달에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푸쉬업(Push up)이나 덤벨을 이용한 프레스, 플라이 운동은 상체 근육을 안정화 시키는 회전근개 발달에 효과적이다. 이 운동을 통해 발달된 회전근개로 인해 일상생활에 동작 중에 손상을 당할 위험도가 감소할 수 있다.


어깨에서 가슴으로 이어지는 라인은 가슴 상부 운동이 주로 좌우하는데 여성의 가슴 윗부분 공간이라고 할 수 있는 쇄골하공간의 발달은 어깨에서 가슴으로 이어지는 라인을 매끈하게 만들어 준다. 실제로 세계적인 여성 모델들도 이 라인 발달을 위해 가슴 운동을 즐긴다고 한다.


여성의 가슴 운동은 다이어트를 했을 때 그 진가를 드러낼 것이다. 위에 언급했듯이 다이어트를 해서 지방이 빠지면 가슴 운동 여부에 관계없이 가슴 사이즈가 줄어든다. 그때 가슴 지방 밑에 발달된 근육의 층으로 인해 조금이나마 사이즈 보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보디빌더들처럼 극도로 다이어트를 해서 가슴 골이 갈라지는 상태가 아니라면 여성의 가슴 운동은 가슴 보완에 큰 도움을 줄 것이다.


woman-pushup-exercise.jpg


여러가지 가슴운동을 추천하지 않는다. 기본적인 동작들로 푸쉬업, 인클라인 덤벨(바벨)프레스, 덤벨플라이와 같은 기본 동작들을 주 1~2회 꾸준히 해주면 된다.



MONSTERZYM SPORTS SCIENCE TEAM

글 작성 : 이호욱, 오경모